
2023년 8월부터 대중교통 요금이 올랐습니다.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는 300원, 광역버스는 700원, 지하철은 150원 올랐습니다. 출퇴근하는 직장인 기준으로 환승을 제외하고 단순히 계산하면 1달 20일로 계산하면 시내버스는 12,000원, 광역버스는 28,000원, 지하철은 6,000원을 더 지불하게 됩니다. 이런 상황에서 교통비를 최대 30% 절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조할인받기
아침 일찍 출근하는 직장인들은 조조할인을 노려보세요. 지하철이나 버스를 첫차부터 오전 6시 30분 전에 탑승한다면 교통비가 최대 20% 할인된 금액으로 적용됩니다.
지하철 1,400원 > 1,120원
버스 1,500원 > 1,200원
주의할 점은 조조할인은 교통카드 이용 시에만 적용되고 출퇴근하는 직장인들이 아침저녁으로 지하철을 이용한다고 가정하면 연간 최대 100,000원까지도 절약할 수 있습니다.
현금으로 환급받기
내가 걷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해 움직인 거리만큼 마일리지로 적립한 후 현금으로 되돌려 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집에서 출발해 버스와 지하철을 타고 목적지까지 이동했다면, 위치 추적이 가능한 선에서 최대 800M까지 내가 걸은 거리를 마일리지로 돌려받을 수 있도록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이때 이동 거리를 요금으로 최대 20%까지 마일리지로 돌려받은 후, 카드사 할인 10%를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카드사에서 교통카드 할인되는 카드 정보는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대중교통 할인 많이 되는 신용카드 추천
추가로 업그레이드된 알뜰 교통카드 플러스라는 게 있어요.
2023년 7월 1일부터 최대 이용 횟수 60회, 최대 지급액은 3만 원대로 늘었습니다. 또한 카드사도 13개사로 늘어났네요. 혜택을 한번 살펴보시고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알뜰 교통카드 플러스
정기승차권 이용하기
지하철 정기권은 서울 기준으로 60회에 55,000원입니다. 60회를 모두 채울 경우 1회당 917원으로 계산되어 1천 원도 안 되는 교통비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정기권은 충전일 기준으로 30일 내 최대 60회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지하철 역사 내 역무실에 찾아갑니다.
- 교통카드 충전기를 찾아갑니다.
- 거리와 횟수를 선택 후 충전을 완료합니다.
- 정기권으로 교통비를 결제합니다.
지하철 정기권 구매 후 사용 방법(서울지하철 기준)
매일 출퇴근을 하는 직장인이나 대중교통을 이용해 통학을 하는 중, 고등학생, 대학생들이라면 위의 교통비 절약 방법을 통해 조금이라도 알뜰한 소비생활을 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연말정산 부양가족 인적공제 기준 상세 정보(150만원 돌려 받기) (0) | 2024.01.16 |
---|---|
신용회복위원회 채무조정 자격, 신청 방법, 준비 서류 (0) | 2023.08.17 |
신용점수 높이는 방법, 올리는 방법, 대출 이자 절약, 신용점수 확인 사이트 (0) | 2023.07.31 |
IMF 한국 성장률 1.4%로 하락 전망 (1) | 2023.07.26 |
실업급여 개편, 샤넬 논란으로 야기된 시럽급여 바뀌는 점 (0) | 2023.07.24 |